지구화의 개념화
(출처: 존베일리스, 스티브 스미스, 퍼트리샤 오언스 편저, "세계정치론" 제7판")
지구화:
1) 정치적 경계를 넘나드는 사회적, 정치적, 경제적 행위들의 연장 (예: 난민의 발달국가로의 이동)
2) 거의 모든 영역에서 사회적 존재들이 상호연계성을 강화 또는 점증시키고 있는 규모 (예: 사스 바이러스의 세계 전파)
3) 지구적 상호작용 및 과정의 가속화 (예: 정보, 자본, 기술이 세계적으로 이동하는 신속성 또는 속도)
4) 지구적 상호작용의 범위, 강도, 속도의 증가와 관련된 지역적, 지구적 연결망의 심화 (예: 지구주의globalism의 심화)
5) 지구화 개념은 인류의 사회적, 경제적 조직 규모에서 구조적 변화가 전개되고 있다는 함의를 가지고 있음.
지구화의 정의:
1) 특정 지방에서 발생한 일들이 수킬로미터 떨어진 장소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영향을 주는 현상과 같은 방식으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지방들을 연계시키는 세계적인 사회관계의 증대 (앤서니 기든스, 1990:21)
2) 세계 경제의 통합 (Gilpin 2001:364)
3) 탈영토화 또는 사람들 사이의 초영토적 관계 증가 (Scholte, 2000:46)
4) 시간, 공간 압축 (Harvey, 1989)
요약 정의: 지구화는 멀리 떨어져 있는 공동체를 연결시키며, 권력관계의 범위를 지역과 대륙 너머로 확대시키는 사회조직의 시공간적 규모가 근본적으로 전환 또는 변환됨을 포함하는 역사적 과정
지구화의 특징:
1. 시공간 압축과정 time-space compression
2. 탈영토화 과정 구현 deterritorialization : 영토적 경계가 더 이상 국가의 경제적, 정치적 공간 범위를 구분짓지 못함
국제화 internatioanlization: 국가들 사이에서 점증하는 상호의존 , 국가들이 분명하게 구획된 경계를 가진 개별적 민족 단위로 남아있음을 강조.
지구화: 국제와 국내 구분이 붕괴되는 과정
지구화의 동력:
1) 공학: 현대 커뮤니케이션 기반 시설이 없으면 지구 체제나 전 세계경제가 특히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자명하다는 점에서 지구화를 설명하는 요인 중 가장 중요
2) 경제: 기술만큼 중요함. 새로운 시장과 이윤을 향한 자본주의 요구는 경제 행위의 지구화로 불가피하게 귀결
3) 정치: 이념, 이익, 권력 포함, 기술이 지구화의 물리적 기반 시설 제공, 정치는 그 규범적 기반 시설 제공. 특히 미국, 영국 정부 같은 여러 정부는 지구화 과정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중요 행위자.
오늘 날 지구화의 형태:
1) 경제: 전 세계적 무역, 금융 및 생산 형태는 지구 시장들과 그 과정에서 단일한 지구 자본주의 경제를 만들고 있음. 다국적 기업이 지구 차원에서 생산과 판매 조직, 지구 금융시장의 작동이 어떤 국가가 신용을 얼마나 갖고 그 조건이 무엇인지 결정
2) 군사: 지구적 무기 거래, 대량 살상무기 확산, 초국가 테러리즘 증가, 초국적 군수 기업 중요성 증가 및 지구적 불안정성 담론의 존재
3) 법: 국제형사재판소 같은 새로운 세계 법률 기구 창설과 초국가적 국제법의 확대
4) 생태: 지구환경 거버넌스의 다자적 대응 및 레짐 창설, 지구온난화에서부터 멸종 동식물 보호, 공유된 환경 문제를 포함하고 있음
5) 문화: 대중문화, 지구적 대중매체 기업,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확산에 따른 동질화와 민족주의, 인종 및 차이의 재강조에 따른 이질성 증가가 복합적으로 혼합
6) 사회: 남에서 북으로,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이민형태는 이민을 주요한 지구 문제로 만듬
지구화의 4개 물결:
제1의 물결: 발견의 시대 1450~1850, 주로 유럽의 팽창과 정복으로 형성
제2의 물결: 1850~1945, 유럽 제국의 확산과 구축과정에서 확대
제3의 물결: 1960년대 이후 , 마이크로 칩과 인공위성이 지구화된 세계질서의 상징 , 중국과 인도의 부상으로 서양에서 동양으로 견제권력 이전
제4의 물결: 현재 형성, 중국, 브라질, 인도 등의 신흥 경제대국들이 추동할 것으로 예측