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일 1이론/한국어교육

한국어 말하기

imgg 2021. 6. 3. 15:14
728x90

1. 한국어 말하기의 오류 유형:

1) 언어적 오류 - 발음, 담화, 어휘, 문법 

2) 기능수행오류 

3) 사회문화오류

4) 전체적 오류 (문장 구성 중 기본 구조가 잘못 되어 의사소통에 큰 방해가 됨)  > 국소적 오류 (문장 구성 중 일부만 잘못 됨) 

의사소통에 방해되는 오류: 발음, 담화, 사회문화 - 우선 수정 필요

 

2. Canale & Swain 

의사소통능력: 의사소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바탕

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:

1) 문법적 능력: 교실 안 양성

2) 사회언어학적 능력 - 사회 언어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언어사용하는 능력

3) 담화적 능력 - 응결성과 응집성으로 대화를 지속하는 능력, 응결성: 문장 사이의 문법적 어휘적 관계 의미, 응집성: 텍스트의 구성 의미

4)전략적 능력 - 언어, 비언어전략 사용능력 

한국어교육에서 통합적으로 길러줘야 함

 

3. 교실 내 상호대응유형 (Byrne, Donn) 

교사와 학생, 정확성과 유창성을 기준으로 분류함.

정확성에 중점, 교사 통제 - 문형 연습, 반복드릴

정확성에 중점, 학생 중심 - 간단한 대화문 연습, 역할극 

유창성에 중점, 교사 통제 - 수업토론, 시뮬레이션

유창성에 중점, 학생 중심 - 역할극, 프로젝트 활동, 게임 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