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1일 1이론/한국어교육 (2)
IMGG's
1. 듣기 과정의 단계: 1) 들리기 hearing - 귀에 들리는 소리를 물리적으로만 인식하는 단계 2) 듣기 listening - 들은 것에서 의미 구성 단계 3) 이해하기 auding - 화자에게 들리는 물리적 소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분석, 반응하는 단계 들리기: 모음, 자음, 받침소리, 발음규칙에 따른 소리 구별, 운소 구별 연습 필요. 듣기: 단어, 문장 의미 이해 1) 단어의 의미 구별 - 평서문, 의문문, 억양구별연습, 2) 문법 항목에 따른 의미구별 - 단어 뜻으로 이루어진 문장을 통사적 의미적 이해 연습 3) 운소에 따른 의미구별 이해하기: 화자가 말하는 본질적 의미와 화용적 의미 파악 단계 - 연습 1) 내용 듣고 요약하기 2) 추측/추론하기 3) 듣고 의견/주장 말하기 4) 문제 ..
1. 한국어 말하기의 오류 유형: 1) 언어적 오류 - 발음, 담화, 어휘, 문법 2) 기능수행오류 3) 사회문화오류 4) 전체적 오류 (문장 구성 중 기본 구조가 잘못 되어 의사소통에 큰 방해가 됨) > 국소적 오류 (문장 구성 중 일부만 잘못 됨) 의사소통에 방해되는 오류: 발음, 담화, 사회문화 - 우선 수정 필요 2. Canale & Swain 의사소통능력: 의사소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바탕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: 1) 문법적 능력: 교실 안 양성 2) 사회언어학적 능력 - 사회 언어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언어사용하는 능력 3) 담화적 능력 - 응결성과 응집성으로 대화를 지속하는 능력, 응결성: 문장 사이의 문법적 어휘적 관계 의미, 응집성: 텍스트의 구성 의미 4)전략적 능력 - 언어, ..